My stories are quite radical. I finally can sense that people are afraid.

I plan to also continue to make all episodes available only through subscription or payment.

This may reduce accessibility, but some radical ideas are needs some walls to approach, and that way will preferable for my comics.

Some of you already know, My comics are unlike anything else in the world 😁 They aim to overturn the very paradigms of our time. 

It's my first attempt, and since nothing like this has been done before, I keep on struggle, make mistakes and keep changing my plans.

I kindly ask for your understanding as I continue this process. 

Thank you for reading and  Please continue to stay with me❤️


After episode 20th, you can read on my Patreon blog Here

만화를 한국어로 보시려면 이 쪽

Si vous voulez lire en français, Ici

Slavoj Žižek, Co-Director, Birkbeck Schoolof Law, London University


After I learned from Hanna Jung that my theoretical ruminations served as an inspiration for her comics, I avidly went through her collection TOO MANY THOUGHTS. 

My immediate reaction was a true epiphany. The chapters (told in the form of comics) cover numerous topics from every day lives to global social problems, from life style habits to conservatism, as I do in my writings. But while I use such examples in order to read them as symptoms of general social trends or even of philosophical categories, Hanna Jung achieves the same without dense and incomprehensible mess of a theoretical exploration – numerous details in her comics (like delicate discordance between words in a dialogue and the image) unsettle the reader and make him/her aware of a much deeper dimension, sometimes even of a metaphysical deadlock. Through such moments of sudden awareness, ordinary readers are thrown out of their everyday numbness. 

Why is this so important? Because we live in an era in which the awareness of a global crisis, of multiple threats to our very survival, compels all of us to become philosophers – to make decisions which cannot be grounded in traditional wisdom. The large majority of people cannot read philosophical treatises, so they urgently need a medium accessible to them in order to rally begin to think.

And here I see the unique accomplishment of Hanna Jung: she made images in comics a medium of thinking. Only through people like her, not through philosophers or political agitators, is there a chance for a global political awakening that is today a condition of our very survival.     

슬라보예 지젝, 런던대 버크벡 법학부 공동 소장


내 이론적 사색이 그녀의 만화에 영감을 주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 나는 정한나의 작품집 『TOO MANY THOUGHTS 생각이 너무 많아』을 열정적으로 읽었다.

첫 반응은 진정한 ‘깨달음’이었다. 이 만화의 각 장들은 일상의 소재부터 전 지구적 사회 문제, 생활 방식 습관에서 보수주의까지, 내가 글에서 다루던 다양한 주제들을 아우른다. 나는 이런 사례들을 일반적인 사회적 경향이나 심지어 철학적 범주의 ‘증상’으로 해석하는 데 비해, 정한나는 난해하고 복잡한 이론적 논의를 거치지 않고도 동일한 깊이에 도달한다. 특히 만화 대사와 이미지 사이의 미묘한 불협화음 같은 세부 묘사들은 독자들을 흔들어 놓고, 그 이면의 더 깊은 차원, 때로는 메타피지컬한 난관까지 느끼게 만든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자각의 순간들을 통해, 평범한 독자들은 일상적 무감각에서 벗어나게 된다.

왜 이 점이 중요한가? 우리는 생존의 위기를 자각하는 이 시대에, 누구나 철학자가 되어 고전적 지혜로는 근거지을 수 없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 대다수는 철학 논문을 읽지 못하니, 사유를 시작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한 매체가 절실하다.

여기서 나는 정한나의 독보적 성취를 본다: 그녀는 만화의 이미지를 사유의 매체로 만들었다. 오늘날, 우리의 생존 조건이 된 세계적 각성을 가능케 하는 건 철학자나 정치 선동가가 아니라 바로 이런 창작자들이다.


About the cartoon "Too many thoughts"


  This comic is based on my thoughts and experiences as a Korean encountering cultural differences and shocks after moving to Italy. While living in Hong Kong- a city where many cultures coexist. I had countless new experiences and learned a great deal. However, my time in Italy, the heart of European civilization, was entirely different. The unfamiliarity was at times overwhelming, yet deeply fascinating, and I felt these moments were worth documenting. That’s what inspired me to start drawing comics.

  Before I worked as an illustrator and cartoonist, I earned my degree in comic art. So I initially wrote these in Korean and later translated them into English for my husband. At his suggestion, I posted a few episodes online, and they were well-received. Encouraged by this response, explored opportunities for serialization, but since my comics were personal short stories rather than long narratives, I didn’t receive much interest. This was after I took a long break to focus on motherhood.

  This led me to explore new artistic approaches. Lately, I’ve been drawn to painting, which allows a single image to convey deep and complex meanings as a tangible presence in space. Influenced by Italy’s rich history, culture, and art, I’ve expanded my work to include painting and contemporary art.

  One of the greatest strengths of comics is their accessibility across all ages and social classes. By combining simple images with text, they offer a powerful way to communicate complex ideas while expanding the range of storytelling. Unlike paintings or films, comics uniquely capture the passage of time and narrative flow through sequential imagery. Though they conve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y remain a one-dimensional medium, allowing for independent creation. This is why I continue to draw comics.

  From a Western perspective, stories about Asians have long been familiar and widely shared. But what about European culture from an Asian perspective? What aspects stand out as unique? Every individual grows up in a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 shaped by their own experiences and values. Because of Europe’s historical influence, much of modern society operates within frameworks established by European traditions. While people worldwide have long adapted to these influences, I believe it’s important to reflect on how these narratives were received and integrated from an Eastern perspective.

  Through my comics, which are rooted in my daily life experiences, I hope we can share a fresh perspective on cultural diversity with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My goal is to foster curiosity and appreciation for cultures beyond our own, encouraging mutual understanding over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nd ultimately building empathy.

  Once again, I would like to thank the readers for their interest in my comics. I will continue to draw in a fun and enjoyable way, so I hope you will read them diligently. 



  만화 '생각이 너무 많아"에 대해



  이 만화는 한국인으로서 이탈리아에 정착하며 겪은 문화적 차이와 충격, 그리고 이에 대한 나의 생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홍콩처럼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에서 지냈을 때에도 새로운 경험을 많이 쌓으며 많은 것을 배웠지만, 유럽 문명의 심장인 이탈리아에서의 생활은 전혀 다른 세계였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당황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깊이 매료되었고, 이런 순간들을 기록할 가치가 있다고 느꼈기에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본격적으로 만화가로 활동하기 전, 만화 예술을 전공했고, 처음엔 한국어로 작업했습니다. 이후 남편에게 보여주기 위해 영어로 번역했는데, 남편의 제안으로 온라인에 몇 화를 올렸더니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 기세로 연재 기회를 모색해봤지만, 긴 서사 대신 개인적이고 짧은 에피소드들이라 큰 관심을 끌진 못했습니다. 그때는 육아로 오랜 공백을 보낸 이후이기도 했습니다.

  이 계기로 새로운 예술적 접근을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최근엔 한 장의 이미지가 공간에서 구체적으로 깊은 뜻을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껴 회화에도 끌리게 되었죠. 이탈리아의 풍부한 역사, 문화, 예술에 영향을 받아 회화와 현대미술 작업으로도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만화의 가장 큰 장점은 나이, 계층을 떠나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순한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합만으로 복잡한 개념도 강렬하게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이야기를 폭넓게 그려낼 수 있으니까요. 회화나 영화와 달리, 만화만의 순차적 이미지가 시간이 흐르고 내러티브가 이어지는 방식을 특별하게 만들어줍니다. 방대한 정보를 담으면서도 1차원적이기에 혼자서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이 만화의 또 다른 매력이기도 하죠. 그래서 여전히 만화를 그리고 있습니다.

  서구의 시각에서 동양인을 다룬 이야기는 이미 친근하고 익숙하게 전파되어왔습니다. 하지만 아시아인의 시선에서 본 유럽 문화의 독특함은 무엇일까요? 각자가 다른 문화 환경과 고유한 가치관 속에서 자라면서 특별한 관점을 갖게 마련입니다. 유럽의 역사적 영향력 덕분에 현대 사회는 대부분 유럽의 전통 위에서 굴러가고 있지만, 그 안에서 동양권 사람들이 이 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체화해왔는지 돌아보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 만화는 그런 일상의 경험 속에서 출발합니다. 다양한 삶의 사람들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신선한 시각을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서로 다른 문화를 향한 호기심과 존중이 소외와 차별 대신 이해와 공감을 쌓는 계기가 되었으면 해요.

  다시 한 번 만화를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재미있게 그릴게요.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CONTACT


Email  toomanythoughts@outlook.kr

Blog (한국어)  https://www.postype.com/@novhanna

Youtube  https://www.youtube.com/@novhanna/

Patreon (English Blog) patreon.com/2manythoughts

Twitter  @gennarohan

Instagram 

 Cartoon  @2manythoughts_han 

 Contemporary art  @nov_hanna 




Using Format